A ship in harbor is safe, but that is not what ships are built for.

STUDY/컴퓨터구조&운영체제 4

Week04(메모리와 캐시메모리&보조기억장치)

RAM의 특징과 종류 01. RAM의 특징 실행할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가 저장 전원을 끄면 저장된 내용이 사라지는 저장 장치 = 휘발성 저장 장치 -> '실행할 대상' 비휘발성 저장장치(하드디스크, CD-ROM, USB..) -> '보관할 대상'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보조기억장치 자료를 RAM으로 복사해 저장한 뒤 실행 02. RAM의 용량과 성능 RAM의 용량이 크다면 보조기억장치에서 실행할 프로그램을 가져오는 작업이 줄어 빠르게 실행 반대로 RAM의 용량이 작으면 보조기억장치에서 실행할 프로그램을 가져오는 작업이 늘어 느리게 실행 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용량은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그에 비례해 증가하지 않음 03. RAM의 종류 (1) DRAM Dynamic RAM -> 일반적 ..

Week03(CPU의 작동원리&CPU의 성능향상기법)

ALU 다양한 계산 담당 레지스터로부터 피연산자를 받아들이고,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받아들임 연산결과(결과값)를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연산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인 플래그를 플래그 레지스터에 저장 플래그 종류 - 부호 플래그 : 연산결과의 부호 -> 1(음수) or 0(양수) - 제로 플래그 : 연산결과가 0인지 여부 -> 1(연산결과 0) or 0(연산결과 0 아님) - 캐리 플래그 : 연산 결과 올림수 or 빌림수가 발생했는지 여부 -> 1(올림수나 빌림수 발생) or 0(발생 안 함) - 오버플로우 플래그 : 오버플로우 발생 -> 1(오버플로우 O) or 0(오버플로우 X) - 인터럽트 플래그 : 인터럽트 가능 여부 -> 1(인터럽트 가능) or 0(인터럽트 불가) -..

Week02(데이터&명령어)

컴퓨터의 정보단위 비트(bit) : 0 또는 1로 표현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바이트(byte) : 8개의 bit를 묶은 정보 단위 -> 2^8(=256)개의 정보 표현 가능 킬로바이트(kB) : 1byte x 1000개 = 1000byte 메가바이트(MB) : 1kB x 1000개 = 1000kB 기가바이트(GB) : 1MB x 1000개 = 1000MB 테라바이트(TB) : 1GB x 1000개 = 1000GB 워드(word) :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 -> half word, full word, double word -> 인텔 x86 CPU는 32비트 word, 인텔 x64 CPU는 64비트 word 이진법 1을 넘어가는 시점에서 자리 올림을 하여 0과 1만으로 수를 표현하..

Week01(컴퓨터의 핵심부품)

컴퓨터 구조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데이터&명령어) + 컴퓨터의 4가지 핵심부품(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데이터(Data) - 컴퓨터가 이해하는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 정적인 정보 명령어(Instruction) - 데이터를 움직이고,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정보 1. 메모리(main memory)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반드시 이 곳에 저장!! - 빠른 작동을 위해 메모리 속 정보를 효율적으로 접근 -> 주소(address) 이용 -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이 존재 -> 주기억 장치는 RAM이라 생각해도 무방 2. CPU(Central Process..